네트워크 원리 chapter 3 - 1
less than 1 minute read
1. 케이블과 리피터, 허브 속을 신호가 흘러간다
- 패킷 하나하나가 독립적으로 동작한다
- 케이블로 흘러간 패킷은 중계 장치를 경유해서 목적지에 도착한다.
- 중계 장치는 데이터의 내용을 보지 않고 헤더에 적힌 정보만 보고 중계한다.
- 기본적인 흐름은 LAN 어댑터 → 리피터 허브 → 스위칭 허브 → 라우터를 경유해서 인터넷으로 나가는 것이다.
- LAN 케이블은 신호를 약화시키지 않는 것이 핵심이다
- LAN 어댑터의 PHY(MAU)회로에서 신호가 나가 케이블에 흘러 리피터 허브의 커넥터 부분에 도착한다.
- 이때 케이블을 이동하고 그 길이가 길어지면서 신호가 약해져서 변형된다. → 통신 오류의 원인.
- 꼼은 잡음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이다.
- 선을 꼬게 되면서 전자파에 의한 잡음을 상쇄한다. (트위스트 페어 케이블)
- 모니터, 형광등 등에서 누설되는 전자파
- 케이블 안의 인접한 신호선에서 누설되는 전자파 (크로스토크)
- 리피터 허브는 연결되어 있는 전체 케이블에 신호를 송신한다
- 신호가 리피터 허브에 도착하면 LAN 전체에 신호가 흩어진다.
- 신호를 수신한 기기는 맨 앞의 MAC 헤더에 쓰인 수신처 MAC 주소를 확인하고 자신이 아니면 무시한다.
- 이 다음 스위칭 허브, 라우터, 서버 등에 도착해서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되고, FCS(프레임 체크 시퀀스)를 검사하는 곳에서 오류가 나면 패킷을 폐기한다.
- MDI는 RJ-45 커넥터와 신호 송/수신 회로를 직접 결선한 것이고, MDI-X는 교차하여 결선하는 것이다 (송 수신 단자를 맞춰주기 위함)
You may also enjoy
9 minute read
React Deep Dive
less than 1 minute read
React Deep Dive
3 minute read
React Deep Dive
2 minute read
React Deep Dive
Leave a comment